본문 바로가기
건강

튀김이 해로운 이유

by 건강의 파이프라인 2022. 8. 10.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튀김! 특히 치킨, 돈까스 등 튀긴 음식은 유명하죠. 튀김은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요리 방법입니다. 오죽하면 튀기면 신발도 맛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죠? 튀김이 몸에 해로운 것은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튀김이 왜 건강에 해로운지 한번 알아볼까요?

튀김이 건강에 해로운 이유

튀김이-해로운-이유
튀김이-해로운-이유

 

튀김과 칼로리

튀김과-칼로리
튀김과-칼로리

일반적으로 다른 조리 방법에 비해 튀김은 많은 칼로리가 추가된다고 합니다. 우선, 튀긴 음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튀김 전에 밀가루나 기타 반죽으로 코팅을 합니다. 또한 음식을 기름을 튀기는 과정에서 수분을 잃고 지방을 흡수하므로 칼로리 함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일반적으로 튀긴 음식은 튀기지 않은 음식보다 지방과 칼로리가 훨씬 높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양의 감자라고 해도 100g의 경우, 구운 감자는 약 95칼로리와 0g의 지방이 들어있는 반면에, 감자튀김의 경우에는 약 320칼로리와 18그램의 지방이 들어있습니다. 같은 양을 튀겼을 뿐인데, 칼로리와 지방의 차이가 어마어마하죠?

튀김과 트랜스지방

튀김과-트랜스지방
튀김과-트랜스지방

튀김을 먹으면 지방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지방이 모두 몸에 안 좋은 걸까요? 그것은 아닙니다. 지방은 포화 지방, 불포화 지방 등으로 나뉩니다. 우리 몸에 가장 안 좋다고 여겨지는 것은 '트랜스 지방'이죠.

 

트랜스 지방은 불포화지방이 수소화 과정을 거치며 형성됩니다. 이는 지방의 화학 구조를 변화시켜 신체가 분해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몸에서 잘 분해가 되지 않는 지방, 몸에 얼마나 안 좋을지 예상이 가죠?

 

또한 트랜스 지방은 심장병, 암, 당뇨병 및 비만을 포함한 많은 질병의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튀김의 경우 매우 높은 온도에서 조리가 되고, 오일을 매우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수소화 반응이 발생하기 때문에 트랜스지방이 생길 확률이 높고, 실제로도 많은 양의 트랜스지방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죠.

 

튀김과 질병

튀김과-질병
튀김과-질병

위와 같이 칼로리도 높고 트랜스지방도 많은 튀김, 튀김이 몸에 좋은 영향을 미치진 않겠죠? 실제로도 튀긴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여러 질병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뇨병

여러 연구 결과, 튀김을 자주 섭취할 경우 당뇨벙에 걸릴 위혐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일주일에 두 번 이상 튀김이 포함된 패스트푸드를 먹는 사람들은 일주일에 1번 미만으로 튀긴 패스트푸드를 먹는 사람에 비해 인슐린 저항성을 가질 확률이 약 2배 가량 높았다고 합니다. 

 

또한 다른 연구에서는, 일주일에 4-6인분의 튀긴 음식을 섭취하는 사람들은 일주일에 1인분 미만 튀김을 섭취하는 사람에 비해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약 40% 더 높았다고 합니다.

 

비만

당연하게도, 튀김의 경우 그렇지 않은 음식보다 많은 칼로리와 지방을 함유하과 있기 때문에 비만에도 취약합니다. 또한 튀김의 트랜스 지방의 경우 식욕고 지방 저장을 조절하는 호르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체중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단일불포화 및 다중불포화 지방에 비해 트랜스지방은 분해가 되지 않아 체중을 크게 높입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과체중 여성의 경우 트랜스 지방의 섭취가 1% 증가하면 8주의 연구 기간 동안 약 1kg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결론

튀김과-건강
튀김과-건강

아시다시피 튀김은 칼로리가 높아질뿐더러 높은 온도에서 조리하는 탓에 트랜스지방도 실제로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자주 섭취하면 문제가 되겠죠? 물론 아예 튀김을 끊을 순 없지만, 양을 줄여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보다 건강하게 섭취하기 위해 식용유,카놀라유,콩기름 등 다른 기름 대신에, 코코넛 오일이나 올리브유, 아보카도 오일을 섭취하면 트랜스지방의 형성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튀김 대신에 에어프라이어나 오븐을 이용한다면 훨씬 더 건강하게 섭취할 수 있겠죠?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 주기와 숙면 하는 법  (0) 2022.08.17
암막커튼의 장단점  (0) 2022.08.16
성기능과 성욕에 좋은 음식 베스트  (0) 2022.08.15
수면 부족이 심장에 미치는 영향  (0) 2022.08.09
아침식사의 중요성  (0) 2022.08.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