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속쓰림 약 어떤 것을 먹어야 할까?

by 건강의 파이프라인 2024. 2. 6.

 

속이 쓰린 경우는 생각보다 많은데요. 속이 쓰릴 때 먹는 약은 증상에 따라 다른 약을 먹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속 쓰림 증상에도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적합한 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에서 속 쓰림 약에 대해 바로 확인해 보세요.

속쓰림으로-통증을-느끼는-여성
속쓰림으로-통증을-느끼는-여성

 

 

 

속 쓰림 약 성분은?

속 쓰림은 위산 역류로 인해 발생하는 흔한 증상인데요. 속 쓰림 증상이 나타날 때 대부분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을 섭취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속 쓰림을 잡아주는 약이라도 성분이 조금씩 다르기에 자신의 증상에 맞는 약을 섭취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아래는 속 쓰림 완화를 위해 속 쓰림 약에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성분들입니다. 본인의 증상에 맞추어 약국 또는 병원에서 해당 성분이 든 약을 처방받으시길 바랍니다.

 

1. 제산제

  • 탄산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중탄산나트륨 등
  • 효과 : 빠르고 일시적인 증상 완화를 위해 위산을 중화
  • 복용 대상 : 간헐적 또는 경미하게 속 쓰림이 발생하는 분

 

2. H2 차단제

  • 파모티딘, 라니티딘, 시메티딘, 니자티딘 등
  • 효과 : 위산 생성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제산제에 비해 더 오랜 기간 동안 증상 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
  • 복용 대상 : 효과가 나타나는 데에 제산제보다는 시간이 좀 더 걸리므로 만성적인 속 쓰림으로 인해 예방이 필요하거나 더 긴 속 쓰림 완화효과를 원하는 분

3. 양성자 펌프 억제제

  • 오메프라졸, 에소메프라졸, 란소프라졸, 판토프라졸, 라베프라졸 등
  • 효과 : 양성자 펌프를 억제하여 위산 생성을 크게 줄입니다
  • 복용 대상 : 설명드린 성분 중 가장 긴 시간 동안 위산을 억제하는 성분입니다. 속 쓰림이 잦거나 심한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장기간 효과가 있는 만큼 완전한 효과 발휘까지 오랜 기간이 걸립니다.
  • 주의사항 : 효과가 강력한 만큼 여러 부작용이 수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용 전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하시기 바랍니다.

 

속 쓰림 약 복용 주의사항

  • 약물을 복용하기 전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권장 복용량과 적정 기간을 따라 섭취하시길 바랍니다.
  • 속 쓰림이 지속된다면 약으로 해결하는 것보다 식습관 변화, 적정 체중 관리, 식사량 줄이기 등의 방법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약국에서 일반의약품을 구매한 뒤 섭취하였음에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바로 병원에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키토다이어트 자세한 식단 구성 방법

키토다이어트는 탄수화물을 제한하고 지방의 섭취량을 늘리는 식단을 섭취하여 몸에 케토시스 상태를 유발하는 다이어트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지방의 연소량을 극대화시키는데요. 키토다이

health.dear-y.com

 

홍역이란? 증상, 전염, 치료까지

최근 유럽에서 홍역이 대유행을 하고 있습니다. 홍역은 우리에게는 비교적 생소한 질병인데요. 홍역에 대해 자세히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홍역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증상 및 전염, 치료 방법

health.dear-y.com

 

체했을 때 원인 및 치료방법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되지 않는 느낌을 우리는 흔히 체했다고 합니다. 이렇듯 체한 느낌은 나도 모르게 찾아오는 경우가 많은데요. 아래에서는 체하는 원인을 상세히 정리하여 최대한 소화

health.dear-y.com

 

타미플루 부작용 있을까?

독감에 걸렸을 때에는 다행히도 치료제가 존재합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맞서 싸울 수 있는 타미플루가 바로 그것인데요. 독감의 원활한 치료를 위해서 타미플루는 복용하는 것이 좋지만

health.dear-y.com

 

운동 후 두통이 생겼다면?

평소에는 아무렇지 않다가 이상하게 운동 이후에만 급격한 두통을 경험해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운동 후 급격하게 생긴 두통은 운동성 두통이라고도 불리는데요, 운동성 두통의 원인과 해결

health.dear-y.com

댓글